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사출성형17

사출 성형 조건의 최적화 기술17 데이터 수집 및 생산 모니터링 절차 - Online 모드 측정 데이터의 수집 및 생산 모니터링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절차를 따라 진행해야 한다. 단계 1 : 셋업 조건 생성하기. 이 단계는 단계 1a와 단계 1b에 요약되어 정리된 사항들로 구성되며, 그 결과는 하나의 셋업 조건 파일이다. 명심해야 할 것은 새로운 셋업 조건을 생성하지 않더라도, 하드웨어 설정 및 측정 환경설정을 직접 생성할 수 있다. 하지만 명심해야 할 중요한 사항은 오직 셋업 조건만이 로그 파일을 통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. 단계 1a : 하드웨어 환경설정. 연결되어 있는 하드웨어의 환경설정은 A/D 카드 세팅, 센서의 민감도 및 채널 할당, 디지털 결과의 신호 형태 및 명칭, 다성분 사출성형의 경우 각 성분들에 대한 센서 할당 등이다.. 2022. 6. 8.
사출 성형 조건의 최적화 기술16 데이터 수집 소프트웨어(DataFlow). DataFlow의 기능(DataFlow Functionality) : DataFlow는 금형 캐비티 압력 센서와 같은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, 저장, 분석할 수 있게 해 준다. 또한 용융 압력(melt pressure), 온도 센서 및 유압 전달 장치로부터 나오는 신호도 적절한 신호 체계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. 측정된 데이터들은 다양한 그래픽 디스플레이(graphic display)를 이용하여 도시될 수 있다. 디스플레이는 각 생산 공정이 완료되면 나타난다. 데이터들은 최대값, 적분 등의 모니터링 기능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분석된다. 모니터링 기능에 대해서 상세한 한계를 정하게 되면, 공정 허용오차를 직접적으로 규정하거나, 이 허용오차를 벗어나는 공정 값.. 2022. 6. 6.
사출 성형 조건의 최적화 기술15 단점으로는 저항 온도 계수가 크고, 변형의 폭이 좁으며, 작은 반경의 곡면에 접착시키기가 곤란하다. 반도체형 스트레인 게이지는 용도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다. ① 측정하려는 장소에 게이지를 부착시켜 그 장소의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변위를 측정, 그것에 가해진 응력, 변형 등을 알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. 예를 들어 중량의 구조물, 기계 등의 응력 또는 강도를 측정, 안정성 및 경제성을 고려한 설계 시 ② 기지의 정해진 차수 재료에 부착시켜 힘, 하중, 압력, 가속도, 변위 등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검출단으로서 응용 스트레인 게이지 종류별 특성 검출소자 Type 측정범위 (kg/㎠) 정도 (% fo FS) 온도 사용한도 (℃) 주파수 (Hz) 부르돈관 및 벨로우즈 접착형 0 ~ 0.7 0 ~ 3500.. 2022. 6. 3.
사출 성형 조건의 최적화 기술14 열전대 측정방법 및 배경 이론 : 열전대 측정방법을 이해하려면 열전 대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이해해야 한다. 열전대 제벡 전압 측정은 열전대를 볼트미터 또는 기타 측정 시스템에 그냥 연결하기만 해서 되는 것은 아니다. 그 이유는 열전대 와이어를 측정 시스템에 연결하면 추가의 열전기 회로가 형성되기 때문이다. 촛불에 접촉하고 있는 J-Type 열전대는 측정하고자 하는 온도를 가지고 있다. 두 개의 열전대 와이어는 데이터 수집 디바이스의 구리(Copper)에 연결된다. 회로에서 세 가지 이종 금속의 접점(J1, J2, J3)이 존대한다. 열전대 접점 J1은 촛불 온도에 비례하여 제벡 전압을 생성한다. J2 및 J3는 각각 제벡 계수가 있고, 데이터 수집 터미널에서 온도에 비례하여 열전대 전압을 생성한다. J.. 2022. 6. 2.
반응형